
양배추에 대한
검색결과 입니다.
연관 검색어
- 품종을 검색하세요.
가격 정보
[양배추] 거래 가격한 눈에 보기
가락시장 경락가격
- 11,656원
- (8키로망대 상품 기준)
- 전일대비-1,784%
- 반입량 413 톤
2025-03-20 기준
산지공판장 가격
- 1,235원
- (1kg 상품 기준)
- 전일대비+1059.3%
- 반입량 4 톤
2025-03-19 기준
전국 도매시장 경락가격
- 1,297원
- (1kg 전체 기준)
- 전일대비+493.9%
- 반입량 776 톤
2025-03-20 기준
중도매인 판매가격
- 16,260원
- (8kg 상품 기준)
- 전일대비-640-3.8%
- -
2025-03-19 기준
소매가격
- 5,880원
- (1포기 상품 기준)
- 전일대비-12-0.2%
- -
2025-03-19 기준
가락시장 경락가격
· 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 본 가격 정보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출하자, 산지 및 품종에 따라 실제 거래가격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가격 정보의 업데이트로 인하여 조회 시점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가락시장 경락가격 : [2025-03-20] 경매 기준 가락시장의 정산 후 경락가격 입니다.
· 산지 공판장 가격 : [2025-03-19] 경매 기준 농협 산지 공판장 경락가격 입니다.
· 전국 도매시장 경락가격 : [2025-03-20] 경매 기준 전국 32개 공영 도매시장의 평균 경락가격 입니다.
· 중도매인 판매가격 : [2025-03-19] 기준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소매가격 : [2025-03-19] 기준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소매가격 추정 판매량 : 전국 대형마트·SSM 매출액을 KAMIS 소매가격 평균값으로 나누어 도출합니다. (등급 및 단량이 고려되지 않은 수치입니다.)
[양배추]일일 가격동향
(중도매거래) 채소류 / 양배추 / 양배추 / 서울지역
2025년 03월 20일윤지인 조사원
- <p> 전남 무안군·신안군·해남군, 제주도 제주시 등지에서 반입 됨<br />
- 주출하지의 일기 회복으로 시장내 반입량 증가로 가격 하락<br />
- 도매 시장 기준 8kg 상품이 16,000원, 중품이 13,300원 선에 거래되며 내림세<br />
- 일기 안정으로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가격 약보합세 전망</p>
(중도매거래) 채소류 / 양배추 / 양배추 / 대구지역
2025년 03월 20일서인지 조사원
- <p> 주로 전남 무안, 해남, 제주 지역에서 반입됨<br />
- 수입산으로 수요가 분산되어 가격 내림세<br />
- 도매가격 8kg 기준 상품 14,000원, 중품 12,000원 선에 거래됨<br />
- 향후 국내 산지 출하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p>
[양배추]가락시장 경락 가격
(단위 : 원)
날짜 | 단위 | 특 | 상 | 중 | 하 | 반입량 |
---|---|---|---|---|---|---|
2025년 3월 20일 | 8키로망대 | 13,559 | 11,656 | 10,462 | 8,594 | 413톤 |
2025년 3월 19일 | 8키로망대 | 15,977 | 13,440 | 11,773 | 8,139 | 347톤 |
2025년 3월 18일 | 8키로망대 | 17,486 | 14,900 | 13,250 | 12,013 | 287톤 |
2025년 3월 17일 | 8키로망대 | 17,145 | 14,129 | 12,232 | 10,051 | 302톤 |
2025년 3월 15일 | 8키로망대 | 16,245 | 12,023 | 10,129 | 8,733 | 290톤 |
[양배추]산지 공판장 가격
(단위 : 원/1kg)
날짜 | 특 | 상 | 보통 | 등외 | 반입량 |
---|---|---|---|---|---|
2025년 3월 19일 | 1,152 | 1,235 | 1,050 | - | 9.8톤 |
2025년 3월 18일 | 975 | 1,130 | 890 | - | 17.6톤 |
2025년 3월 17일 | 1,100 | 993 | 1,033 | - | 21.1톤 |
2025년 3월 15일 | 1,851 | - | - | - | 4.8톤 |
2025년 3월 14일 | 1,197 | 573 | 846 | - | 18.2톤 |
[양배추]전국 도매시장 경락가격 정보
(단위 : 원/1kg)
날짜 | 고 | 중 | 저 | 평균 | 반입량 |
---|---|---|---|---|---|
2025년 3월 20일 | 2,692 | 1,162 | 789 | 1,093 | 21.8톤 |
2025년 3월 19일 | 1,815 | 1,365 | 748 | 1,248 | 757.6톤 |
2025년 3월 18일 | 1,802 | 1,414 | 741 | 1,324 | 606.1톤 |
2025년 3월 17일 | 1,722 | 1,328 | 753 | 1,244 | 654.9톤 |
2025년 3월 15일 | 1,807 | 1,189 | 752 | 1,116 | 756.1톤 |
[양배추]중도매 가격 정보
(단위 : 원)
날짜 | 단위 | 상 | 중 |
---|---|---|---|
2025년 3월 19일 | 8kg | 16,260 | 13,200 |
2025년 3월 18일 | 8kg | 16,900 | 13,620 |
2025년 3월 17일 | 8kg | 16,280 | 13,080 |
2025년 3월 14일 | 8kg | 15,340 | 11,732 |
2025년 3월 13일 | 8kg | 13,840 | 10,558 |
[양배추]소매 가격 정보
(단위 : 원)
날짜 | 단위 | 상 | 중 |
---|---|---|---|
2025년 3월 19일 | 1포기 | 5,880 | 4,946 |
2025년 3월 18일 | 1포기 | 5,892 | 4,934 |
2025년 3월 17일 | 1포기 | 5,993 | 5,013 |
2025년 3월 14일 | 1포기 | 6,057 | 5,043 |
2025년 3월 13일 | 1포기 | 6,058 | 4,971 |
시장 반입량
[양배추]지역별 도매시장 반입량
[양배추]주요 품종별 반입량
(단위 : 톤)
구분 | 3월 15일 | 3월 17일 | 3월 18일 | 3월 19일 | 3월 20일 | 트렌드 |
---|---|---|---|---|---|---|
양배추(일반) | 1,284.0 | 1,005.9 | 916.3 | 1,197.8 | 719.0 | |
양배추(수입) | 190.9 | 243.0 | 253.0 | 235.9 | 51.8 | |
양배추 | 4.7 | 5.6 | 1.4 | 2.4 | 5.3 | |
꼬꼬마 | 7.6 | 9.9 | 7.8 | 0.1 | 0.0 |
생산량
[양배추]연도별 생산량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트렌드 |
---|---|---|---|---|---|---|
생산량(톤) | 328,198 | 313,236 | 385,940 | 319,123 | 262,217 | |
면적(ha) | 6,980 | 7,091 | 8,675 | 7,237 | 6,436 | |
10a 생산량(kg) | 4,702 | 4,417 | 4,449 | 4,410 | 4,074 |
데이터 출처 : 통계청 KOSIS
소비 트렌드
[양배추]대형마트 소비트렌드
[2025년 3월 1주] 양배추(전체) 1포기
구분 | 매출액(만원) | 평균가격(원/1포기) | 추정판매량(개/1포기) |
---|---|---|---|
3월 1주 | 112,480 | 5,543 | 202,922 |
2월 4주 | 108,964 | 5,429 | 200,707 |
2월 3주 | 106,378 | 5,039 | 211,108 |
2월 2주 | 112,764 | 5,144 | 219,216 |
2월 1주 | 97,528 | 5,232 | 186,408 |
[3월 1주 기준] 연도별 주간 판매량
[2025년 3월 1주] 주간 판매량 추세
데이터 출처 : ㈜마켓링크
- 대형유통업체(대형마트, SSM)의 주간 단위 품목별 매출을 POS데이터를 분석하여 조사한 수치를 제공합니다.(매주 목요일 16시)
- 조사대상 : 대형마트(롯데마트, 홈플러스, 하나로클럽, 이마트*), SSM(롯데슈퍼,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이마트 에브리데이, GS슈퍼*)
* 시장점유율을 고려한 추정치를 적용하였으니 자료 활용시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월-주차 기준 : 월초, 월말 일수를 감안한 주차(week) 체계의 월(마지막주에 목요일 포함이면 당월의 주, 월~일요일)
(예시) 24년1월31은 수요일로 목요일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2월 1주차로 간주함. 2월 1주차는 1/29(월)~2/4(일)까지
수출입 통계
[양배추] 2025년 2월수출 한 눈에 보기
- 당월
- 월누계
- 당월
- 월누계
총 수출액
243천 $
총 수출물량
297 톤
최대 수출 국가
일본95.4%
수출액 성장 국가
괌0.5%
[양배추] 2025년 2월수입 한 눈에 보기
- 당월
- 월누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