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넷 NongNet

연관 검색어

  1. 품목 또는 지역을 입력하세요.

연관 검색어

  1. 품목 또는 지역을 입력하세요.

산지 작황 Live

현장에서 전하는 생생한 농산물 작황 정보

경상북도 안동시건고추(일반) 조사에 대한 결과입니다.

  • 작성 익명
  • 최초등록

생육단계

  • 파종(육묘)기

    2월 상순~4월 상순
  • 정식기

    4월 중순~5월 상순
  • 생육기

    5월 중순~6월 하순
  • 출하기(산지)

    7월 상순~10월 하순
  • 저장출하기

    11월 상순~6월 하순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 파종
  • 정식
  • 생육
  • 출하
  • 저장

2차 (조사기간 : 2023-10-12~2023-10-12)

조사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서안동 농협공판장

(조사기관)조사자, 조사사유, 작형, 생육단계, 작황(전년대비), 작황(평년대비), 출하진행율, 저장(의향)동향, 병충해, 피해면적, 병충해 피해율, 조사내용의 정보를 제공
조사일자 2023-10-12 ~ 2023-10-12
작형 고추 > 출하기(산지)
조사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서안동 농협공판장
조사사유 출하동향
작황(전년대비) - 작황(평년대비) -
출하시작시기 2023-10-11 ~ 2023-10-11
출하진행율 0%
병충해 해당 없음
조사내용 □ 출하동향
- 7~8월경 1차 및 2차 수확 물량까지는 작황이 양호하여 출하량이 증가되었으나 9월 하순 이후부터는 출하량히 급격히 감소되는 경항 보임
- 일교차 10도 이상 커지면서 냉해 피해를 입어 3차 및 4차 수확량이 격감되면서 농가 생산량 조기 소진 현상 보임
- 출하 초기에는 전문 유통인들의 거래 활발하였으나 성출하기 이후 반입품의 상품성이 낮아 예년에 비해 거래 둔화된 경향 있음
- 특히 전문유통인, 저장업체의 수매 의향이 저하되어 거래가 활발하지 못한 경향이 있는데 이는 상품성이 우수한 물량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됨
- 작황부진에 의한 생산량 감소로 농가 출하량 격감이 예상되고, 향후 김장철 소비 집중시기를 앞두고 있어 거래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됨

/

1차 (조사기간 : 2023-03-09~2023-03-09)

조사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조사기관)조사자, 조사사유, 작형, 생육단계, 작황(전년대비), 작황(평년대비), 출하진행율, 저장(의향)동향, 병충해, 피해면적, 병충해 피해율, 조사내용의 정보를 제공
조사일자2023-03-09 ~ 2023-03-09
작형고추 > 정식기
조사지역경상북도 안동시
조사사유 출하동향
정식일자2023-03-09 ~ 2023-03-09
(예상)출하시기2023-03-01 ~ 2023-03-01
육묘동향 육묘시기(전년대비)
육묘량(전년대비)
주요품종
재배(의향)
증감률
전년대비 동일
평년대비 동일
산지거래동향 전년 거래가 [미등록]
전전년 거래가 [미등록]
평년 거래가 [미등록]
조사내용□ 노지재배 : 일반적으로 4월 하순경부터 5월 초순경이지만 경북 안동, 봉화, 청송, 영양 등지는 경주 영천 지역보다 조금 늦은 편임
□ 시설재배 : 하우스 안의 온도가 높아 땅의 온도도 자연스레 높아져서 노지 정식기보다 약 10일 정도 빠름
□ '23년 재배(의향)면적 추정
(1) 농협 : '22년에는 '21년보다 10% 감소, '23년에는 '22년보다 10%감소
(2) 종묘회사 : 금년에 전국적으로 13% 감소된 것으로 나타남
(3) 농촌경제연구원 ; 전국적으로 7% 감소를 예측함

/

TIP※ 데이터 출처aT 수급관리처

- 주요품목의 산지 작황정보를 aT 산지모니터링 요원이 직접 조사한 정보로서 현장 사진과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 대상품목 : 배추, 양파, 무, 마늘, 고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