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 작황 Live
현장에서 전하는 생생한 농산물 작황 정보
경상북도 안동시건고추(일반) 조사에 대한 결과입니다.
- 작성 익명
- 최초등록
생육단계
-
파종(육묘)기
2월 상순~4월 상순 -
정식기
4월 중순~5월 상순 -
생육기
5월 중순~6월 하순 -
출하기(산지)
7월 상순~10월 하순 -
저장출하기
11월 상순~6월 하순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차 (조사기간 : 2023-10-12~2023-10-12)
조사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서안동 농협공판장
조사일자 | 2023-10-12 ~ 2023-10-12 | ||
---|---|---|---|
작형 | 고추 > 출하기(산지) | ||
조사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서안동 농협공판장 | ||
조사사유 | 출하동향 | ||
작황(전년대비) | - | 작황(평년대비) | - |
출하시작시기 | 2023-10-11 ~ 2023-10-11 | ||
출하진행율 | 0% | ||
병충해 | 해당 없음 | ||
조사내용 | □ 출하동향
- 7~8월경 1차 및 2차 수확 물량까지는 작황이 양호하여 출하량이 증가되었으나 9월 하순 이후부터는 출하량히 급격히 감소되는 경항 보임 - 일교차 10도 이상 커지면서 냉해 피해를 입어 3차 및 4차 수확량이 격감되면서 농가 생산량 조기 소진 현상 보임 - 출하 초기에는 전문 유통인들의 거래 활발하였으나 성출하기 이후 반입품의 상품성이 낮아 예년에 비해 거래 둔화된 경향 있음 - 특히 전문유통인, 저장업체의 수매 의향이 저하되어 거래가 활발하지 못한 경향이 있는데 이는 상품성이 우수한 물량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됨 - 작황부진에 의한 생산량 감소로 농가 출하량 격감이 예상되고, 향후 김장철 소비 집중시기를 앞두고 있어 거래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됨 |
/
1차 (조사기간 : 2023-03-09~2023-03-09)
조사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조사일자 | 2023-03-09 ~ 2023-03-09 | |
---|---|---|
작형 | 고추 > 정식기 | |
조사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 |
조사사유 | 출하동향 | |
정식일자 | 2023-03-09 ~ 2023-03-09 | |
(예상)출하시기 | 2023-03-01 ~ 2023-03-01 | |
육묘동향 |
육묘시기(전년대비)
육묘량(전년대비) |
|
주요품종 | ||
재배(의향) 증감률 |
전년대비 | 동일 |
평년대비 | 동일 | |
산지거래동향 | 전년 거래가 | [미등록] |
전전년 거래가 | [미등록] | |
평년 거래가 | [미등록] | |
조사내용 | □ 노지재배 : 일반적으로 4월 하순경부터 5월 초순경이지만 경북 안동, 봉화, 청송, 영양 등지는 경주 영천 지역보다 조금 늦은 편임
□ 시설재배 : 하우스 안의 온도가 높아 땅의 온도도 자연스레 높아져서 노지 정식기보다 약 10일 정도 빠름 □ '23년 재배(의향)면적 추정 (1) 농협 : '22년에는 '21년보다 10% 감소, '23년에는 '22년보다 10%감소 (2) 종묘회사 : 금년에 전국적으로 13% 감소된 것으로 나타남 (3) 농촌경제연구원 ; 전국적으로 7% 감소를 예측함 |
/
TIP※ 데이터 출처aT 수급관리처
- 주요품목의 산지 작황정보를 aT 산지모니터링 요원이 직접 조사한 정보로서 현장 사진과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 대상품목 : 배추, 양파, 무, 마늘, 고추